북방리의 지명
- - 북방들 : 비평들이라고도 하는데,부평이 변했다.
- - 대밭골(竹田) : 신촌(新村)마을 옆에 있는 골로, 단양 장씨(丹陽長氏)의 세거지(世居地)이다. 임란공신(壬亂功臣) 장운현(張胤賢)의 출생지인데. 지금은 폐허가 되고 대나무가우거져 있다.
- - 버드나무골 : 수정당(守正堂)이 있는 골인데,옛날에 버드나무가 많이 있었다.
- - 어미골 : 북방 아래 마을에서 곤양(昆陽)으로 넘어가는 긴 골인데, 모습이 고기의 꼬리와 같다.
- - 쑥골 : 북방과 불무(彿舞)의 중간,고성산밑에 있는 큰골이다.옛날 진주 촉석루의 칡 기둥이 이곳에서 나왔다고 한다.
- - 점골(店谷) : 북방 마을 앞산에 있는 골인데,옛날 비아리 기둥감이 나왔다고 한다.
- - 그맛 : 불무(彿舞)에서 사이길로 옥종,곤양선(昆陽線) 합하는 지점인데 일명 금오대(金烏臺),거무티라고도 한다.
- - 단지골 : 불무 서북쪽에 있는 골로,모양이 단지와 비슷하다.
- - 도장골 : 불무에서 곤명(昆明)탁골로 넘어가는 골인데,석탄을 판 굴이 있다.
- - 깟바치골 : 금오대(金烏臺)뒤쪽 골인데,1920년경 석탄을 팠다.지금도 석탄을 팠다. 지금도 석탄 조각이 많이 있다.
- - 금오대(金烏臺) : 검은 돈의 터라는 뜻이다.과연 이 부근에서 석탄을 채광하여 돈의 거래가 많이 있었다.지금도 금오대라는 지명을 보고 채광업자들이 드나든다.

- - 쇄골 : 금오대(金烏臺) 건너 골인데,1960년대에 석탄을 팠다.
- - 동전골(桐田谷) : 북방 아래 마을에서 덕천강을 따라 조금 내려가 우측에 있는골이다. 옛날부터 오동나무가 많이 있었다.
- - 뒷들 모퉁이 : 분토(奔兎)에서 신촌(新村)으로 가는대밭골 발치 모퉁이로,신촌뒤에 있다고 이름한 것이다.
- - 바래 모퉁이 : 불무건너 고성산자락에 있는 모퉁이로,모양이중 바래와 같다.
- - 쌀무동 : 도가리재 먼당에 있는데,봉우리가 큰 무덤만 하다.
- - 닭고개 : 쑥골에서 묵은터로 넘어가는 고개인데,엣날에는 대로(大路)였다
- - 문집강보(文執綱洑) : 신톤과 분토 사이에 있는 보로,옛날 집강(執綱)벼슬을한 문씨 성을 가진 사람이 막았다고 한다.
- - 통새미 : 북방 아래 땀에 있는 샘으로,통을 박아 사용하였다.수량이 풍부하여 북방 대촌(大村)의 수원이다.